[청년, 협동조합에 로그인하다] 12. 또 하나의 미션

이예나(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양성사업 전담교원)

필자가 전담교원으로 일하고 있는 경남과기대 사회적경제 전문인력사업단에서는 매 학기 방학마다 사회적경제 인턴십을 진행한다. 정확히 말하면 사회적경제 연계전공의 교과목 중 하나이다. 학기 중에는 수업이 진행되지 않고 방학 중 4주 동안 지역의 사회적경제 조직에서 인턴실습을 마친 후 학점을 취득한다. 주로 3,4학년 학생들이 인턴십을 통해 사회적경제 현장을 경험하고, 취업을 고민해 보기도 한다.

이 인턴십은 사업단이 시작된 이후 5년째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인턴십 이후 사회적경제 영역에 취업 또는 창업을 한 학생들이 올해로 8명이다. 지금까지 인턴십을 거쳐 간 학생들이 87명이니, 약 10%정도 되는 셈이다. 이번 여름방학에는 총 18명의 학생이 경남지역 12개 사회적경제 조직에서 인턴십을 수행중인데, 그 중 3곳에 사회적경제 인턴실습을 했던 졸업생들이 재직 중이다. 인턴십 이후 해당 업체에 취업을 한 학생들이 어느새 후배들을 인턴으로 맞이하고 있는 것이다. 경남지역 사회적기업과 협동조합, 수도권의 중간지원조직에 취업한 경우도 있고 진주 아이쿱생협에서의 인턴경험을 살려 본사에 취업하고 다시 고향인 진주로 발령받아 일하는 졸업생도 있다. 대학생들이 사회적경제 연계전공과정을 통해 새로운 삶의 방향과 진로를 모색하도록 하려는 사업단의 본래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학생들과 졸업생들을 만날 때면 반갑고 뿌듯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다소 걱정이 들기도 한다. ‘학생들이 일터로서 사회적경제 영역을 긍정적으로 평가할까? 취업을 하더라도 수년간 지속적으로 일하기보다 그저 잠시 머물러가는 직장이 되지는 않을까? 사회적경제에 오히려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되지는 않을까?’하는 걱정들이다. 사회적경제가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대학생, 청년들이 기꺼이 선택할 수 있는 ‘좋은 일자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이런 걱정들을 일으키는 것 같다.

청년실업이 연일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가운데, 실제로 한국의 사회적경제는 청년들에게 ‘좋은 일자리’를 제공해주고 있는가?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기획재정부에서 발표한 2017 협동조합 실태조사를 보면 정규직의 경우 평균임금이 월 147만원이며, 2017년 발표된 사회적기업의 자율공시 자료에 따르면 사회적기업에 종사하는 일반근로자 평균임금은 월 178만원이다. 모두 통계청에서 실시한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정규직 월평균 임금수준(284만원)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그러나 사회적기업의 경우 저임금근로자들에게는 오히려 일반기업보다 더 높은 임금을 주며, 내부의 임금분포도 더 평등하다고 한다.1) 또한 사회적경제가 가지고 있는 인간중심의 가치와 지향은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일에 종사하고 싶어하는 청년들에게 더욱 매력적일 수 있다. 이것이 개인의 비전이나 가치관과 결합된다면 그 어느 조직보다 높은 시너지를 창출할 가능성도 있다. 이처럼 좋은 일자리의 조건은 평균임금 수준만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물론 현실에서 이러한 시너지를 창출하면서 노동자들의 다양한 경제적, 사회적 욕구를 모두 충족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사람마다 각자의 개성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조직도 마찬가지로 어떤 갈등이나 문제없이 완벽한 상태로 지속되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경제가 청년들이 가고 싶고 머무르고 싶은 ‘좋은 일자리’가 되려면 인간중심의 가치, 협력과 연대의 정신이 일상적인 조직문화 곳곳에 스며있어야 할 것이다. 누구나 조직 내에서 목소리를 낼 수 있으면서도 서로를 신뢰하고 개인의 감정과 생각이 존중받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직문화는 구성원 모두가 꾸준한 성찰과 소통을 통해 서로의 다양성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과정은 느리고 때로는 고통스럽지만, 이를 통해 형성된 조직문화는 장기적으로 사회적경제 조직만의 고유한 경쟁력이 된다. 특히 일을 통해 재미를 추구하고 개인의 성장을 중시하는 20~30대 청년들에게2), 민주적인 분위기의 사회적경제 일터는 그들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발현할 수 있는 ‘기회의 장(場)’이 될 수 있다. 창업지원 사업이나 경연대회를 통한 아이디어 발굴 및 기회창출도 중요하지만, 사회적경제의 조직 안에서 실제 이해당사자들이 제안한 새로운 아이디어들이 개발되고 적용된다면 개인과 조직이 모두 Win-Win인 동시에 그 자체가 가장 빠르고 현실적인 현장으로부터의 혁신이 될 것이다. 또한 사회적경제 조직들은 기존의 한국에서 쉽게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일과 조직의 형태를 상상해볼 수 있는 ‘실험의 장’이 될 수도 있다. 근무시간을 유연하게 조정하거나 직급을 따로 두지 않을 수도 있고, 이름 대신 예명을 사용하여 나이와 성별로부터 벗어나는 시도를 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조직과 개인의 관계를 고민하는 소셜벤처나 노동자협동조합 등에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사회적경제 조직들에게는 당장 치열한 시장경제 속에서 사업성과를 올려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 더 필요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사회적경제 조직 고유의 민주적,인간적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것은 그 자체로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달성해야 할 중요한 미션이다. 비록 당장 많은 돈을 벌기는 어렵더라도 노동자들이나 조합원들이 일을 통해 서로 성장하고 연대하면서 삶이 조금 더 즐거워졌다고 말할 수 있다면, 그 조직은 이미 앞으로 나아가고 있을 것이다. 한 달간의 인턴십을 마친 학생들에게도 사회적경제 현장에서의 경험이 짧지만 즐거웠던 기억으로 남기를 바란다.

 

1) 황덕순. (2016). “사회적기업이 저임금 개선에서 거둔 성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노동리뷰, 3-4.

2) 황세원. (2017). “좋은 일의 새로운 기준. 좋은 일, 공정한 노동 2 사업결과보고서”. 희망제작소 희망리포트 201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