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1월 칼럼] 조화로운 협동조합 생태계를 위한 학습시스템을 만들자!(이정주,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이사장)
요즈음처럼 사회 경제적으로 앞날이 불투명한 시기에는 미래에 대한 꿈을 꿀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참 행복한 일이다. 오는 12월이면 협동조합법 시행령이 발효된다. 5명만 모이면 누구나 쉽게 법인 사업체로서의 협동조합을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 복지와 일자리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
요즈음처럼 사회 경제적으로 앞날이 불투명한 시기에는 미래에 대한 꿈을 꿀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참 행복한 일이다. 오는 12월이면 협동조합법 시행령이 발효된다. 5명만 모이면 누구나 쉽게 법인 사업체로서의 협동조합을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 복지와 일자리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
최근 ‘협동조합’ 관련 교육과 선진 사례 발표가 봇물 터지듯 전국 각지에서 열리고 있다. 언론에서는 경제가 어려울수록 일자리를 나누고 ‘경쟁’보다 ‘연대’하는 세계 유수의 협동조합이 등장하며 마치 일자리를 만드는 ‘도깨비방망이’처럼 협동조합을 조명하기도 한다. 올해 12월 ‘협동조합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기대하는 바가 자못 크기 […]
어느 지역의 문화를 이해하기까지에는 얼마의 시간이 필요할까? 1달? 3달? 1년? 절대적인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닐테지만, 내 경험에 의하면, 최소한 1주일 이상은 한 곳에 머물면서 지켜보아야 그곳의 사람들이 사는 방식이 조금씩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고, 1달 이상을 머물러야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기 […]
‘88만원 세대’ ‘아픈 청춘’으로 20대가 사회에 호명되고 있다. 졸업 후에도 막막한 앞길 이라는 현실 때문에 소통과 공감, 위로, 멘토링, 통계 숫자 등을 가지고 기성세대는 20대에게 다가서고 있다. 20대는 새로운 유권자이면서 새로운 소비자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20대에게 다가서는 소통과 공감이라는 용어의 정치적 대표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