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와 독일 협동조합 100년 성공의 비결

단행본
2019
Author
icooprekr
Date
2019-01-31 13:01
Views
2754

이탈리아와 독일 협동조합 100년 성공의 비결

협동조합을 통한 사업 성공은 어려운가? 무엇이 협동조합의 사업 발전을 저해하는가?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은 이 문제에 천착하며 지난 5년 간 현장에 적을 둔 대학원생과 교수들이 같이 공부해왔다. 이러한 공부의 일환으로 이들은 철저한 사전 조사와 준비를 거쳐 이탈리아의 협동조합 현장(2017.2)과 독일의 협동조합(2018.2)을 기획 방문했다. 이 책은 그 결과물이다. 협동조합도 빅 비즈니스가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이를 통해 어떤 사회적 성과를 가져왔는가를 직접 확인한 내용을 책에 담았다. 이탈리아와 독일의 수많은 협동조합 중에서 종업원 500명 이상의 대규모 협동조합, 100년 이상의 오래된 협동조합 중에서 사회적 임팩트가 높은 사례를 골라 그 성공 요인을 탐구했다.

 

<저자소개>

 - 장종익 :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교수

 - 오창호 :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교수

 - 김종겸 : 두꺼비하우징 도시재생팀장

 - 김현주 : 도봉노원디딤돌아이쿱생협 감사

 - 김효섭 : 아이쿱협동조합지원센터

 <추가저자>

 - 박정수 :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석사과정

 - 손재현 : 해피브릿지협동조합 조합원

 - 송직근 : 민들레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전무이사

 - 오경아 : 평택협동사회네트워크 사회적협동조합 상임이사

 - 오연주 :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석사

 - 이철진 : 서울도봉지역자활센터 실장

 - 최계진 :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 석사

 - 최용완 : 광진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 지원팀장

 

<목차>

책을 내며 

1부 일하는 사람들이 100년에 걸쳐 키워낸 이탈리아 노동자 소유 대기업 

1장 공작 기계 분야 종업원 4천 명 규모의 노동자협동조합 사크미(SACMI): 김종겸 
2장 건설 분야 종업원 8천 명 규모의 벽돌공과 미장장이 협동조합 CMC: 오경아 
3장 외식 분야 종업원 1천 명 규모의 트렌티노 노동자협동조합 리스토3(Risto3): 손재현 

2부 경쟁 대신 협동으로 파워 네트워크를 구축한 독일 중소기업협동조합 

4장 우리에게 숨겨진 독일 소기업 협동조합의 일부를 찾아내다!: 장종익 
5장 독일 슈퍼마켓의 혁신 리더 슈퍼마켓협동조합 레베(REWE): 장종익, 김효섭 
6장 프랜차이즈 견제 기능을 넘어서 마켓 리더로 우뚝 선 독일 건축자재판매점주협동조합 하게바우(Hagebau): 장종익, 박정수 

3부 참여형 복지와 사회적 연대를 실천하는 사회적 협동조합 

7장 600명 고용 규모, 영화 ‘위캔두댓’의 주인공 쿱논첼로(Coop Noncello): 이철진 
8장 이탈리아 사회적협동조합 성공의 비밀, 컨소시엄 조직 cgm: 송직근 
9장 독일의 사회주택협동조합 브레머호헤(Bremer H?he): 최계진 
10장 독일의 사회 혁신과 함께 성장한 사회적금융협동조합 GLS Bank: 오연주, 최용완 

4부 넓고 강력한 네트워크 연합회 

11장 협동조합을 살리는 130년 전통의 협동조합 연합 조직 레가꿉(Legacoop): 오창호 
12장 지역민의 삶 속에 깃든 트렌티노협동조합연맹(Cooperazione Trentina): 김현주 
13장 강력한 감사연합회 보유한 독일의 협동조합총연맹 DGRV: 오창호 

[부록: 거시적·제도 환경적 분석] 

이탈리아는 어떻게 대안적 빅 비즈니스에 성공했는가?: 장종익

 

<출판사 서평>

협동조합의 양적 증가에서 질적 발전으로의 전환 방안 탐구 

이 책은 한신대 교수 2명과 사회적 경제 현장에서 주경야독하는 11명의 대학원생이 지난 2년 동안 대안적 비즈니스로서의 협동조합에 크게 성공한 이탈리아와 독일의 협동조합을 방문 조사하고 사례를 분석한 결과물이다. 필자들은 양적 증가를 이룬 한국 협동조합의 질적 발전이 절실하다는 문제 인식 하에 그 해답을 찾고자 공부하고 조사하고 분석했다. 

2012년 12월에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후 금융과 보험 분야를 제외한 거의 모든 분야에서 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그 수는 1만 4천개가 넘었지만 기획재정부의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과반수 가까이가 사업 개시 전이거나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아직 성공적인 사례도 찾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현실은 협동조합이 취지는 좋아 보이지만 사업의 확대를 통하여 그 취지를 실현하기는 쉽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협동조합을 통한 사업 성공은 왜 어려울까? 협동조합이 주식회사를 통한 사업 성공보다 근본적으로 더 어려운가? 어떠한 요인이 협동조합의 사업 발전을 저해하는가? 국제협동조합연맹에서 제시한 협동조합의 7대 운영원칙을 잘 지키면 사업도 잘 되는 것 아닌가? 그렇다면 부실한 협동조합들은 원칙을 지키지 않아서인가? 
한신대학교 사회혁신경영대학원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대안적 비즈니스 방식으로서의 협동조합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 것인가를 지난 5년 동안 현장에 적을 둔 대학원생과 교수들이 같이 공부해왔다. 협동조합의 장점뿐만 아니라 약점이 무엇인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고 극복하는 방안과 다양한 성공사례를 연구해왔다. 이러한 공부의 일환으로 2017년 2월에 이탈리아의 협동조합 현장을, 2018년 2월에는 독일의 협동조합을 각각 6개월 이상의 사전 준비와 조사를 한 후에 기획 방문했다. 

탐방의 포커스는 협동조합도 빅 비즈니스가 가능하다는 가설을 실제로 검증하는 것이었다. 또 그것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어떠한 사회적 성과를 가져왔는지를 현장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유럽에서 노동자협동조합과 사회적협동조합이 가장 발달한 이탈리아, 소기업·소상인협동조합과 사회적금융협동조합이 가장 발달한 독일을 연구 대상 지역으로 설정했다. 특히 두 나라의 수많은 협동조합 중에서 종업원 500명 이상의 대규모 협동조합, 100년 이상의 오래된 협동조합 중에서 사회적 임팩트가 높은 사례를 찾아 그 성공 요인을 탐구했다. 

이 책에는 노동자협동조합, 소상공인·중소기업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 그리고 총연합회에 대한 총 열두 가지의 사례를 담아서 분석했다. 질 좋은 고용을 창출하고 민주적인 경영의 전형을 만들어내기 위해 일하는 사람들이 100년에 걸쳐 키워낸 이탈리아 노동자 소유 대기업 중 공작기계·건설·외식 분야 세 가지 사례, 경쟁 대신 협동을 선택해 파워 네트워크를 구축한 독일 중소기업협동조합 중에서 슈퍼마켓과 건축자재판매 분야 등 두 가지 사례와 그 연합회, 참여형 복지와 사회적 연대라고 하는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등장한 사회적협동조합 중 노동통합형·컨소시엄·사회적주택·사회적은행 네 가지 사례, 그리고 넓고 강력한 네트워크 형태의 연합회 구조를 지닌 이탈리아와 독일의 세 가지 연합회 사례를 심층 분석했다. 

필자들이 확인한 협동조합의 사회적 성과는 다양하고 폭이 넓다. 질 좋은 고용의 창출과 유지 확대, 기업 민주주의의 실현, 소상공인 및 소기업의 경영 안정과 혁신, 부의 양극화 완화와 연대 자본주의 실현, 사회적 약자 지원과 사회 혁신 프로젝트에 시민들의 직접적 참여를 조직화하는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 대안 에너지 혹은 청년 프리랜서 분야 등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협동조합의 기획, 회원 조합 지원이라는 울타리 안에만 갇히지 않은 총연합회 역할의 혁신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성과는 의미만으로 그치지 않고 누구나 체감할 수 있는 구체적 수준의 성과들이다. 이 책은 이러한 성과들이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분석했다. 

다양한 분야 다양한 유형의 협동조합에서 확인된 협동조합의 성공 요인은 크게 다섯 가지이다. 첫째, 주식회사 형태의 기업 방식으로는 실현하기 어려운 협동조합의 장점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사업과 경영 전략을 채택한다는 점이다. 둘째, 조합원의 참여에 의한 상향식 의사 결정 구조에서 비롯되는 협동조합의 장점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 힘쓴다는 점이다. 셋째, 주식회사 비즈니스 업계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협동과 연대’라는 협동조합 섹터의 고유한 문화를 키운다는 것이다. 넷째, 규모가 커지면서 나타나는 협동조합의 약점을 줄이기 위한 조직 전략과 경영 전략을 펼친다는 점이다. 다섯째, 이탈리아와 독일의 협동조합 섹터는 총연합회가 매우 강한 리더십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상의 성공 요인은 책 전체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아무쪼록 이 책이 협동조합의 질적 발전을 희망하는 많은 분들에게 구체적 사례와 가능성으로 읽히길 기대한다. 

 

재단법인 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지원을 받아 출간되었습니다.